EDI 이해하기
"서로 다른 기업 또는 조직간에 표준화된 비즈니스 정보를
상호 합의된 통신표준 및 문서표준을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정보전달방식"
전자 문서 교환(영어: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은 독립된 조직 간에 정형화된 문서를 표준화된 자료표현 양식에 준하여 전자적 통신매체를 이용해 교환하는 방식이다.
즉, EDI는 일정한 통신표준에 따라 서로 다른 기업 또는 조직 간에 상업송장 등의 상거래서식 또는 수출신고서 등의 공공서식을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변화시켜 컴퓨터간에 교환, 축적, 처리하는 정보전달방식이다.
EDI의 목적은 전통적인 서류의 작성과 전달을 통해 무역업무를 처리하는 대신 컴퓨터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전자문서화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 처리함으로써 서류 없는 무역(Paperless Trade)을 실현하는 것이다.
EDI의 구성요소
파트너와 ED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전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 비즈니스 정보:
주문, 송장, 배송지시 등과 같이 파트너와 EDI로 교환하고자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합의 필요함. - EDI 문서 포맷:
상기 비즈니스 정보를 어떤 EDI 문서 포맷을 이용하여 교환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
EDI 문서 포맷으로는 EDIFACT(유럽)와 X12(미국)이 주로 이용되고 있음. - EDI 통신 방식:
EDI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어떤 통신망(Network: VAN or Internet)과
전송방식(Protocol: FTP, HTTPS, SMTP, EDIINT 등)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
EDI 표준
- 문서 표준: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정보, 정보의 순서와 형태 및 정보의 각 부분의 의미 등을 기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EDIFACT(유럽)와 X12(미국)의 양대 표준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산업별, 국가별로 독립된 표준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RosettaNet, ebXML 등이 이에 해당함. - 통신 표준:
전자 문서의 송수신 규약으로 전송방식, 보안, 인증, 부인방지 등의 방식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것을 EDI 통신 표준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EDI는 VAN망을 사용하여 FTP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VAN 비용 문제로 인하여 Internet망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Internet망을 사용하는 경우 EDIINT AS1 (SMTP)과 EDIINT AS2(HTTPS)의 두가지 표준이 존재한다.
보통 EDI라고 하면 상기와 같은 표준에 따라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파트너에 따라서는 표준 포맷이 아닌 상호 합의하여 정의된 메시지 포맷(Mutually Defined Message Format)을 사용한다거나 표준이 아닌 통신 프로토콜(Non Standard Protocol)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UN/EDIFACT 및 EANCOM 정의
EDIFACT
UN/EDIFACT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의 약자로,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 :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에서 개발된 EDI 국제 표준입니다. 유엔유럽경제위원회는 완벽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1986년부터 시작하여 18개월 후인 1987년에 ISO의 후원 하에 ISO 9735라는 이름의 UN/EDIFACT 구문규칙과 전자문서개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으며, 현재 EDIFACT표준은 UN의 후원 하에 유엔유럽경제위원회의 국제무역촉진기구(Working Party for the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Trade)인 UN/ECE/WP.4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EANCOM
각국 코드관리기관의 전자문서 표준화 작업을 국제적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국제표준코드 관리기관(EAN International)은 이를 전담할 실무작업반을 구성하여 EAN총회에서 EDIFACT를 근거로 한 EANCOM이라는 국제 EDI표준을 개발할 것을 의결하였습니다. EANCOM은 EDIFACT표준의 개발을 전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EDIFACT 전자문서 표준의 서브셋(subset)으로 EANCOM을 사용할 수 있고, 최초의 EANCOM EDI표준 매뉴얼은 1990년 7월에 발간된바 있으며 계속해서 발간하여 지금 현재 주문서(Purchase Order), 송장(Invoice), 발송통지서(Dispatch Advice) 등 총 42종에 이르고 있습니다.
MIG(Message Implementation Guide)
비즈니스 정보를 전자 문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각 비즈니스 정보가 전자문서의 어느 위치에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 지 등과 같은 전자문서에 대한 파트너 상호간에 합의된 규약이 필요한데 이러한 전자문서의 양식에 대한 상호 합의된 규약 또는 지침을 기술한 것을 MIG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EDIFACT의 경우 세계 각국 모든 산업의 모든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매우 유연하고 포괄적인 표준 MIG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구현범위가 지나치게 방대하기 때문에 실제에서는 EDIFACT 표준 MIG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Subset으로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요 물류 및 유통 EDI 문서
Name | Description | Remark |
PARTIN | Party Information | 거래처 정보 |
PRICAT | Price/Sales Catalogue | 상품 정보 |
ORDERS | Purchase Order | 주문서 |
ORDRSP | Purchase Order Response | 주문응답서 |
ORDCHG | Purchase Order Change Request | 주문변경요청서 |
DESADV | Dispatch Advice | 발송통지서 |
RECADV | Receiving Advice | 인수통지서 |
INVOIC | Invoice | 송장 |
REMADV | Remittance Advice | 송금통지서 |
INVRPT | Inventory Report | 재고현황보고서 |
DELFOR | Delivery Schedule | 납품계획서 |
SLSRPT | Sales Data Report | 판매현황보고서 |
REQUOT | Request for Quotation | 견적요청서 |
QUOTES | Quotation | 견적서 |
IFTMIN | Transport Instruction | 운송지시서 |
IFTSTA | Transport Status Report | 운송상태보고서 |
RETANN | Announcement for Returns | 반품통지서 |
RETINS | Instruction for Returns | 반품확인서 |
TAXCON | Tax Control | 세금계산서 |
# Reference
'IT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I(RosettaNet) 표준 프로세스 흐름도 (0) | 2021.02.10 |
---|---|
업무별 EDI Message 정의 (EDIFACT, RosettaNet, X12) (0) | 2021.02.08 |
소스 코드 시각화를 통해 자료형 개념과 변수 이해하기 (0) | 2021.02.08 |
EDIFACT Segment의 구조 (0) | 2021.02.08 |
EDIFACT Message의 구조 (0) | 2021.02.08 |
댓글